AWS 실습: RDS 시작
AWS 실습: RDS 시작
AWS RDS 시작
실습 진행 전 MySQL workbench 설치 필요.
콘솔에 RDS를 입력해서 RDS 서비스 입장.
- 지역을 선택 후 “데이터베이스 생성"을 클릭해 DB 생성.
-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식을 “표준 생성"으로, 엔진을 “MySQL"로 설정.
- “프리 티어” 템플릿 선택
- DB 인스턴스 식별자(이름), 마스터 사용자 이름, 마스터 암호 등을 설정.
- 인스턴스로 t2.micro를 선택하고, SSD gp2 스토리지를 선택 후 20GB 이상의 용량 선택.
- 이 실습에서는 “EC2 리소스에 연결 안 함"을 선택하고, VPC와 DB 서브넷 그룹을 다 기본으로 설정. 퍼블릭 엑세스 역시 허용.
- VPC 보안 그룹을 새로 생성하고, 그룹 이름을 작성. 인증 방식은 암호를 통한 인증 선택.
- “추가 구성"에서 초기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백업 관련 설정등을 지정함.
- 월별 추정 요금 등을 확인한 후 “데이터베이스 생성” 클릭.
-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가 생성되면 이름을 클릭.
- 연결 & 보안 탭의 엔드포인트 주소를 확인. 이 주소를 통해 연결해야 하므로 기록해 둠.
- MySQL workbench에서 “Database” - “Connect to Database"를 클릭.
- 다음과 같이 입력
- Hostname: 12번에서 기록해 둔 엔드포인트 주소
- Port: 3306
- Username: 5번에서 입력한 마스터 사용자 이름
- 5번에서 입력한 마스터 암호 입력
- 다음과 같이 잘 연결되는 것이 확인 됨.
-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test_db로 이동.
use test_db;
show tables;
- 직접 테이블을 생성하고 입력, 조회해서 잘 동작하는 것 확인.
CREATE TABLE users(
uid INT PRIMARY KEY,
score INT
);
INSERT INTO users VALUES (1, 30), (2, 18);
SELECT FROM users;
- DB 인스턴스를 삭제하고 싶다면 RDS 콘솔에서 “작업” - “삭제"를 누름.
- 백업 / 스냅샷 여부를 설정하고 삭제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