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cale up / Scale out
Scale up / Scale out
Scale up / Scale out 이란
추가적인 서버 용량 및 성능을 위해 인프라를 확장하는 두 가지 방법.
Scale up
- 기존의 서버를 높은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.
- 사용 중인 서버에 디스크, CPU / 메모리 업그레이드 등이 해당.
- Amazaon EC2 인스턴스 사양을 small에서 medium으로 올리는 것도 해당.
- 수직적 확장이라고도 함.
- 장점
- 추가적인 네트워크 관리가 필요하지 않음.
- 운영 및 관리 부담이 적음.
- 데이터 정합성(일관성)이 보장됨.
- 단점
- 수행시 서비스가 다운되어야 함.
- 한 서버에 부담이 가중되므로 재해에 취약해짐.
- 성능 및 용량 향상에 한계가 존재하고, 비용이 비쌈.
- 예상했던 것 보다 사용량이 적을 경우 손해가 심함.
Scale out
- 새 서버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.
- 비슷한 사양의 서버를 추가해서 기존 서버의 부하를 분담. 적절한 로드 밸런싱 필요.
-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는 자동으로 서버를 scale out 해 주기도 함.
- 수평적 확장이라고도 함.
- 장점
- 서버 추가를 유연하게 할 수 있음.
-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며, 성능 및 용량 향상에 한계가 없음.
- 한 서버가 다운되어도 전체적인 장애가 발생하지는 않음.
- 단점
- 서버 수가 늘어날 수록 관리 및 운영의 난이도가 높아짐.
- 데이터 정합성(일관성)이 낮아짐.
- 로드 밸런싱이 잘 설계되어 있지 않다면 비효율 발생 가능.
비교
구분 | Scale up | Scale out |
---|---|---|
확장 한계 | 명확 | 한계 없음 |
확장 비용 | 비쌈 | 비교적 저렴 |
운영 난이도 | 변화 없음 | 서버 수에 따라 증가 |
장애 | 전면 장애 위험 | 비교적 부담 적음 |
사용 서비스 | 데이터 일관성이 중요한 서비스 | 대규모 서비스 |
References
- https://tecoble.techcourse.co.kr/post/2021-10-12-scale-up-scale-out/
- https://junghyungil.tistory.com/151
- https://dev-coco.tistory.com/143
- https://m.blog.naver.com/islove8587/220548900044